고속도로 매매법에 관해 그동안 여러 글 들을 올려왔는데 각각의 글들이 처음 배우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연결이 되지 않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올린 주요 글들을 나열해보면 1. 주식을 처음에 얼마를 사고 시작해야하는 초기 셑팅방법에 대한 방법 2. 매일 매수/매도 하는 방법(국내장/미장) 3. 하락장에서 리벨린싱하며 내려가능 방법 4. 상승장에서 리벨런싱하며 따라 올라가는 방법 5. 주식독립군 구독자님들의 댓글 등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지금은 이런 것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영상들이 없으니 글 솜씨가 부족한 나로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고속도로 매매법 또는 기타 래버리지 상품을 하는 강심장을 가진 분들에게 몇가지 대처 방안을 소개한다. 1. 멘탈관리가 가장 중요..

지난번에는 하락장에서 리벨런싱으로 대응하는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번에는 상승장에서 구간을 늘리는 리벨런싱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설정한 상단 구간에 주가가 올라 벗어나면 주식수가 "0"가 되기에 더 이상 고매법을 진행 할 수 없게된다. 그러므로 상단에 도달하기전 리벨런싱을 통해 상단을 순차적으로 올려가야 상승장에서도 지속적인 매매를 할 수 있게된다. 코스닥150래버리지 종목으로 현재 구간설정은 4,000~16,000원, 거래수는 구간당 1,000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1) 수익금의 일부로 주식을 미리 사며 올라간다.(주가가 상승시 대응) 주가가 12,000원 정도 오면 총 잔고를본다. 총잔고가 아직 손실 상태라면 조금 더 기다리고, 주가가 13,000원 도달시 총잔고가 예를들어 (총잔고 : 주식평가금액..

1) 가격은 우리가 알수 없어요 . 코스닥150래버 가격이 10,000원 일때 5,000원 보면 싸다고 생각되지만 리먼사태 같은 위기 다시오면 2,000원도 갈수도 있어요. 총자산을 보고 주식비중을 자산손실 없이 위, 아래 자유자재로 움직여야 해요. 2) 기본적으로 코스닥150래버리지 상품의 경우 5,000원~15,000원(10구간) 설정하고 아래로 3,000원 위로 3,000원 자산의 큰 손실 없도록 시장에 맞추어서 움직이는 방법도 있고, 코스닥이 상단 돌파하면 더 저렴한 아직 출발하지 않은 ETF로 갈아탈수도 있어요. 3) 하락시 현금 비중 30%(주식70%)되면 상단을 줄이고 아래 구간의 거래수를 늘리는 리벨런싱을 해야되고, 상승시 구간을 늘려 올라 갈 때도 자산의 5% 안쪽으로 조금씩 발 맞추어 ..

구독자 한분의 요청이 있어 작성해 봤습니다. 소액으로 테스트를 위한 용도입니다. 그래서 범위를 줄여서 잡았습니다. 충분히 매매법에 대한 장,단점을 숙지 하신 후 테스트바랍니다. 현재 96주를 가지고 있을 때 기준입니다(편의상 짝수로 했습니다.) 거래 범위는 제가 임의로 23달러~33.2달러 까지로 잡고 거래수량을 잡았습니다. TEST를 하는 중에도 23달러 밑으로 떨어 질수 있고, 상단으로 탈출할수 있습니다. 신중하게 테스트하시길 바랍니다. 본격적으로 하실 때는 범위를 상,하단 충분히 잡으시고 , 15달러 밑으로도 언제든 올 수 있다고 생각하시고 하단 예수금 또는 여유자금 보유하시고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LOC로 매수 매도를 걸때는 0.1 단위로 겁니다. 전일종가가 28.46달러면 편의상 소수점 2째자리..

고매법은 주가의 하락 상승에 관계없이 지속 적인 매수, 매도를 통해 수익을 만들어 낸다. 만약 주식의 가격이 상단으로든 하단으로든 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면 매매법을 지속할 수가 없다. 국내장 KODEX 코스닥150래버리지(233740) 설정구간을 4,000~16,000원으로 기본 셋팅하고 매수,매도를 진행하던 중 하락장을 맞는 상황으로 설명한다. 주가가 계속 떨어지는데 4,000원 도달 전 까지 거래수나 범위를 조정하지 않고 내려오면 주식수량은 최대로 늘어나 있지만 더 이상 주식을 살 현금이 없어진다. 즉 어쩔수 없이 존버하는 상황이 발생하기에 주식비중이 70% 늘어나는 시점이 대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리벨런싱을 검토하고 거래량과 범위를 조정해 추가 적인 수익을 만들고 이 수익금으로 하단 구간을 대응해 ..